TCP 핸드셰이킹

TCP에서는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송신부(클라이언트)와 수신부(서버)를 연결하는 과정을 거친다.
TCP 핸드셰이킹3-Way Hand Shaking4-Way Hand ShakinghandshakingSYNFINACKRSTPSHURGflag
avatar
2025.06.10
·
3 min read

TCP에서는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송신부(클라이언트)와 수신부(서버)를 연결하는 과정을 거친다.

6645

TCP에서 연결을 시작할 때는 3-way 핸드셰이킹(handshaking)을, 연결을 종료할 때는 4-way 핸드셰이킹을 한다.

핸드셰이킹 과정에서는 송신부와 수신부 간 연결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다음과 같은 플래그(flag) 값을 주고받는다.

  • SYN: Synchronization(동기화)의 약자로, 연결을 생성할 때 사용한다.

  • FIN: Finish(종료)의 약자로, 연결을 끊을 때 사용한다.

  • ACK: Acknowledgment(승인)의 약자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수신자가 받았음을 알려줄 때 사용한다.

  • RST: Reset(초기화)의 약자로, 연결을 재설정할 때 사용한다.

  • PSH: Push(밀다)의 약자로, 빠른 응답이 필요한 데이터를 응용 계층으로 즉시 전송할 때 사용한다.

  • URG: Urgent(긴급)의 약자로,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위 플래그 중에서 주로 사용하는 플래그 값은 SYN(연결), FIN(종료), ACK(승인) 이다.







- 컬렉션 아티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