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tooth
개요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
개인 통신망
디지털 정보 통신용
2.4GHz - 2.485GHz ISM/UHF 대역 이용
ISM?
Industry-Science-Medical Band.
산업, 과학, 의료용 전파 에너지 대역.
상호 간섭을 용인하는 사용을 전제, 따라서 저에너지 통신토록 함.
UHF?
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
극초단파 이용은 하드웨어 소형화에 이점이 있다.
Bluetooth Classic, BLE
Classic
79개 채널로 나누어 통신
Ch 0-78
주파수는 (2402 + k * 2)MHz
k = 0, 1, ..., 78
BLE, Bluetooth Low Energy
40개 채널로 나누어 통신
Ch 0-39
주파수는 (2402 + k)MHz
k = 0, 1, ..., 39
0-36번 채널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
37-39번 채널은 디바이스 탐색, 연결 초기화 등에 사용.
Classic vs. BLE
비.교.적.
고전력-저전력
장거리(10-100m)-근거리(50m)
고속(1-3Mbps)-저속(1Mbps)
하드웨어
블루투스 칩
감사하게도 SoC 칩들이 시중에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 기반하는 것들.
너무 당연한가?
CC254X SoC 시리즈
블루투스 SoC 칩이다.
칩 하나에 BLE Protocol Stack을 모두 구현했다.
즉,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칩이다.
여기에 안테나를 달아서 쓰는 듯?
Intel 8051에 기반한다.
8bit MCU
32MHz 속도로 동작.
내부에 별 게 다 들어 있는데, 열거하자면...
Memory Arbitrator, DMA, AES 회로, Radio Aribitrator, USART 0-1, Timer 1-4, (De)Modulator... 등등...)
세부사항은 데이터시트 검색하면 나온다. 나는 Texas Instruments Datasheet 봤다.
Profile
개요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장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이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해야 사용할 수 있다.
(= 조건을 충족해야 Compatible하다)
블루투스 버전, 그리고 BLE인지, BR/EDR인지에 따라 지원 가능한 프로파일이 다름에 유의해야 한다.
가령 오디오 장치라면 A2DP를 구현해야 한다.
모바일에서는 특정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하드웨어를 가진 기기에 API 형식으로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되어 있는 듯하다.
BR/EDR(Classic) Profiles (오디오)
A2DP, 스테레오 음악 전송
AVRCP, 오디오/비디오 재생 제어
HFP, 핸즈프리 관련
HSP, 헤드셋 관련
BLE Profiles (오디오)
오디오 지원은 5.2에서야 추가되었다!(LE Audio)
BAP, 오디오 스트리밍
VCP, Volume Control
MCP, Media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