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3968 알고리즘 수업 - 버블 정렬 1

Python
avatar
2025.05.01
·
4 min read

문제

오늘도 서준이는 버블 정렬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N개의 서로 다른 양의 정수가 저장된 배열 A가 있다. 버블 정렬로 배열 A를 오름차순 정렬할 경우 번째 교환되는 수를 구해서 우리 서준이를 도와주자.

크기가 N인 배열에 대한 버블 정렬 의사 코드는 다음과 같다.

bubble_sort(A[1..N]) { # A[1..N]을 오름차순 정렬한다.
    for last <- N downto 2
        for i <- 1 to last - 1
            if (A[i] > A[i + 1]) then A[i] <-> A[i + 1]  # 원소 교환
}

입력

첫째 줄에 배열 A의 크기 N(5 ≤ N ≤ 10,000), 교환 횟수 K(1 ≤ K ≤ N2)가 주어진다.

다음 줄에 서로 다른 배열 A의 원소 A1, A2, ..., AN이 주어진다. (1 ≤ Ai ≤ 109)


출력

번째 교환되는 두 개의 수를 작은 수부터 한 줄에 출력한다. 교환 횟수가 보다 작으면 -1을 출력한다.


내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k = map(int, input().split())
list1 = list(map(int, input().split()))

def BubbleSort(list1, k):
    cnt = 0
    for i in range(len(list1)-1, 0, -1):
        for j in range(i):
            if list1[j] > list1[j+1]:
                temp = list1[j]
                list1[j] = list1[j+1]
                list1[j+1] = temp
                cnt += 1
                
            if cnt == k:
                return list1[j], temp
            
    if cnt < k:
        return -1, -1
    
answer = BubbleSort(list1, k)
if answer[0] == -1:
    print(-1)
else:
    print(answer[0], answer[1])

단, pypy3에서만 작동...


코멘트

버블 정렬은 문제 설명에도 나와있지만 배열의 처음부터 끝까지 탐색을 하면서 i번째와 i+1번째 칸을 비교하여 swap을 하는 방식의 정렬 알고리즘이다. (시간 복잡도 = O(N2)O(N^2))

until-until-until-5782

다만 여기에서는 버블 정렬만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k번째에 swap하는 두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해야 한다. count를 세다가 k번째가 되면 두 수를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시간 복잡도가 저래서 그런지 python3로는 시간 초과가 자꾸 난다ㅠ


References

https://www.acmicpc.net/problem/23968







- 컬렉션 아티클